이전 포스팅 다시 보기
2015/10/26 - [분류 전체보기] - 경직 (Spasticity) 는 무엇이고 어떤 증상인가요?
![](http://static.naver.net/blank.gif)
경직의 부정적 측면외에 긍정적인 측면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을까요 질문에는 있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근육의 긴장도 증가와 반사항진이 섰을때 체중부하를 견디게 한다든지, 근위축, 골다공증, 심부정맥혈전증 등의 방지 및 심폐기능유지에 도움을 주는 등 환자의 기능 및 합병증 예방에 유익한 측면이 있습니다.
경직의 정도 평가 방법은?
경직은 환자에게 기능적으로 도움이 될수도 해가 될수도 있으므로 경직이 환자들의 기능적인 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재활의학과 전문의는 경직으로 인한 자세균형 장애 및 보행 장애, 이동활동의 장애, 피부손상 등으로 인한 욕창발생,관절구축의 발생, 근육경련으로 인한 통증 유무 등 기능적 평가를 수행하며 애쉬워드의 경직척도(Modified Ashworth's scale, MAS) 를 통해 경직의 중증정도를 판단하게 됩니다.
0: 근 긴장도의 증가가 없음
1: 환측 사지의 굽힘과 펴짐 운동을 시킬 때 관절가동범위의 끝 부분에서 약간의 저항이 감지, 근 긴장도가 약간의 증가를 보임
1+: 관절가동범위의 1/2이하에서 저항이 느껴짐
2: 대부분의 관절가동범위에서 저항이 느껴지나 수동적인 움직임이 가능
3: 근 긴장도의 증가로 수동적인 움직임이 어려움
4: 굴곡/신전 강직(rigidity)
또한 등속성 역량계등을 이용한 진자검사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최근에 근전도와 같은 전기 생리학적 방법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첨단수단이 많이 발달하고 있습니다.
재활의학과에서는 등속성 역량계와 전기측각기를 이용한 진자검사 등으로 경직을 좀더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 다시 보기
2015/10/26 - [분류 전체보기] - 경직 (Spasticity) 는 무엇이고 어떤 증상인가요?
![](http://static.naver.net/blank.gif)
'건강 &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T (Manual Muscle Testing)T, 도수근력 평가의 정의 및 방법 그리고 주의사항 (0) | 2015.11.14 |
---|---|
경직(Spasticity) 치료 목적과 치료는 약물을 이용한 방법과 병행해야 합니다 (0) | 2015.10.29 |
경직 (Spasticity) 는 무엇이고 어떤 증상인가요? (0) | 2015.10.26 |
엄지 발가락이 바깥으로 휘는 무지 외반증 (0) | 2015.03.23 |
으악!!! 입 냄새의 원인과 종류 (0) | 2015.03.21 |